Proxy와 Reflect
개인적으로 조그만한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데, api를 이용해 외부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작업을 했었다.
그런데 response
가 Proxy
라는 객체로 들어오고 [[target]]
이라는 프로퍼티 내부에 원하는 데이터가 들어있었다.
그 당시에는 변수 뒤에 target을 붙여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사용했었는데 궁금증은 해결하는게 맞기에... 정리해보았다.
Proxy 란?
Proxy
는 특정 객체를 감싸 프로퍼티 읽기, 쓰기와 같은 객체에 가해지는 작업을 중간에서 가로채는 객체이다. Proxy는 해당 객체가 처리하는 특정 명령을 재정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문법
let proxy = new Proxy(target, handler);
target
- Proxy로 감쌀 객체handler
- 동작을 가로채는 메서드인trap
이 담긴 객체로, 여기서 명령을 재정의한다.
아래 코드는 별다른 기능이 없는 기본적인 프록시 객체다.
let proxy = new Proxy({}, {});
console.log(proxy);
/*
Proxy {}
> [[Handler]]: Object
> [[Target]]: Object
> [[IsRevoked]]: false
*/
주의할 점은 한 번 세팅된 프록시 객체의 대상 객체는 변경할 수 없다.
만약 객체를 변경시키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프록시 객체를 통해 변경해야 한다.
let abc = {};
let proxy = new Proxy(abc, {});
proxy.test = 5; // proxy를 변경해주면
console.log(abc.test); // 5 (target이 변경된다!)
console.log(proxy.test); // 5 (proxy를 사용해 값을 읽을 수도 있다)
위에서 proxy.test = 5
를 했을 때 5
가 그대로 target
에 전달됐다.
이는 handler
에 어떠한 트랩
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trap(트랩)
트랩을 설명하기 전에, Javascript에서 객체에 어떤 작업을 할 때에는 Javascript 명세서에 정의된 내부 메서드
가 깊숙한 곳에서 관여한다.
예를 들자면, 프로퍼티를 읽을 땐 [[Get]]
, 쓸 땐 [[Set]]
이라는 내부 메서드가 관여한다.
이러한 내부 메서드의 호출을 프록시가 가로챈다. 그리고 가로챈 메서드들을 핸들링하기 위해서 내부 메서드에 대응하는 트랩들이 있다.
기본적인 트랩 추가 방법은 아래와 같다.
const target = { name: 'target' };
const test = new Proxy(target, {
get: () => console.log('객체 읽었음');
})
Spring을 해 본 사람은 뭔가 익숙함을 느낄텐데, 나는 프록시가 Spring에 AOP와 굉장히 유사하다고 느꼈다.
(알고보니 Spring AOP가 프록시 패턴을 이용해서 구현된거라고 한다.)
만약 같은 트랩이 중복 선언되면 마지막이 선언된 트랩만 적용된다.
폐기 가능한 프록시 객체
생성자로 만들어진 프록시 객체는 Garbage Collection에서 지워지거나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폐기 가능한 프록시 객체(revocable proxy)를 만들 수도 있다.
const revocable = Proxy.revocable({}, {});
console.log(revocable); // {proxy: Proxy, revoke: f}
이렇게 생성된 Proxy 객체의 revoke를 호출시키면 프록시 객체가 폐기되며 GC에 의해 수거된다.
트랩에서 사용되는 메서드 목록
참고: https://ko.javascript.info/proxy
내부 메서드 | 핸들러 메서드 | 작동 시점 |
---|---|---|
[[Get]] | get | 프로퍼티를 읽을 때 |
[[Set]]] | set | 프로퍼티에 쓸 때 |
[[HasProperty]] | has | in 연산자가 동작할 때 |
[[Delete]] | deleteProperty | delete 연산자가 동작할 때 |
[[Call]] | apply | 함수를 호출할 때 |
[[Construct]] | construct | new 연산자가 동작할 때 |
[[GetPrototypeOf]] | getPrototypeOf | Object.getPrototypeOf |
[[SetPrototypeOf]] | setPrototypeOf | Object.setPrototypeOf |
[[IsExtensible]] | isExtensible | Object.isExtensible |
[[PreventExtensions]] | preventExtensions | Object.preventExtensions |
[[DefineOwnProperty]] | defineProperty | Object.defineProperty, Object.defineProperties |
[[GetOwnProperty]] | getOwnPropertyDescriptor | Object.getOwnPropertyDescriptor, for..in , Object.keys/values/entries |
[[OwnPropertyKeys]] | ownKeys | Object.getOwnPropertyNames, Object.getOwnPropertySymbols, for..in , Object/keys/values/entries |
규칙
트랩을 쓸 땐 Javascript에서 정한 몇가지 규칙을 따라야 한다.
[[Set]]
이 성공하면 true를, 실패하면 false를 반드시 반환해야한다.[[Delete]]
가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으면 true, 실패하면 false를 반드시 반환해야한다.- 기타 등등 다른 조건은 명세서를 확인하자.
Proxy 사용 주의점
주의
Proxy
객체는 target
객체를 덮어씌운다.
프록시 객체를 선언하고 나서 target
객체를 참조하는 코드가 없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이 엉망이 될 확률 UP!!!)
Reflect
Reflect
는 Proxy와 같이 Javascript 명령을 가로챌 수 있는 메서드를 제공하는 내장(Built-in) 객체이다.
Proxy에서 Reflect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나도 완벽하게 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Prototype
에 대한 사이드 이펙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위에서 말했듯이 Proxy 객체는 원래 객체위에 덮어씌워진다.
즉, 원래 객체를 호출하더라도 프로토타입 체인을 통해서 Proxy
객체부터 탐색을 시작한다.
아래 예제를 보자.
function reactive(target) {
return new Proxy(
target,
{
get(target, key, receiver) {
return target[key];
},
set(target, key, value, receiver) {
target[key] = value;
return value;
}
}
);
}
const giwon = {
birth: 1994,
};
const mincho = {
birth: 1901,
get age() {
return new Date().getFullYear() - this.birthYear;
}
};
const giwon.__proto__ = reactive(mincho);
console.log(giwon.age); // 122
giwon
의 나이는 29 (2022년 기준)
가 나와야 하지만, 122
살이 나올 것이다. (ㅎㄷㄷ)age
함수를 탐색하기 위해 프로토타입 체인을 통해 프록시 객체로 탐색을 이어나가고, 트랩 내 target은 mincho
이기 때문에 age
함수의 this
는 mincho
를 바라보게 된다.
즉, Proxy를 통해서 다른 객체에 존재하는 기능을 우리가 원하는 객체에 추가하려 해도, this 컨텍스트가 원하는 객체로 바인딩되지 않는다. 그래서 Reflect를 사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한다.
위에서 말했듯이 Reflect
는 Proxy의 트랩처럼 내부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차이점이 있다면 Reflect
는 작업을 요청받은 객체를 인자로 전달하여 this 컨텍스트를 지정해줄 수 있다. (즉, this로 인한 사이드 이펙트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잘 이해가 안간다면 코드를 보자.
function reactive(target) {
return new Proxy(
target,
{
get(target, key, receiver) {
return Reflect.get(target, key, receiver);
},
set(target, key, value, receiver) {
return Reflect.set(target, key, value, receiver);
}
}
)
}
get
과 set
을 통해 전달받은 receiver (작업을 요청받은 객체)
를 Reflect를 통해 내부로 전달하고 있다.receiver
를 내부로 전달함으로써 this를 해당 객체에 바인딩해준다.
코드가 훨씬 깔끔해졌다 😃
Reflect를 사용하는 또 다른 이유
간결해지는 코드
Object.prototype.hasOwnProperty.call
같은 긴 메서드를 많이 사용해보았을 것이다.
참 좋은 메서드지만... 객체에 직접 hasOwnProperty
를 사용할 수 없다는게 참 귀찮았다.
하지만 Reflect.has()
를 사용하면 더 간결하게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에러 핸들링
Reflect를 통해서 객체 내부 프로퍼티를 생성하거나 확인할 때 if-else
문으로 깔끔하게 구현이 가능하다. 이 부분은 정확히 이해가 안가서 공부 좀 더 해야할 듯 싶다. 일단은 "그렇구나" 하고 넘어갔다.
후기
api를 사용하다가 Proxy가 궁금해서 공부해보았지만... 아직은 쓸 일이 없을 듯 하다.
api 호출 같은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기능들에 Proxy를 씌워서 추가작업을 해주고 클라이언트에 보내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긴 한데 흠.... 아직은 잘 와닿지 않는다 ㅎㅎ
써보다 보면 이해하겠지뭐!